본문
학력
- 1994.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대기과학과 졸업
- 2001.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의학사)
- 2005. 전남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의학석사)
- 2008. 전남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의학박사)
경력 및 해외 연수
- 2007년 3월-2008년 2월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전임강사
- 2008년 3월-2010년 2월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조교수
- 2010년 3월-2010년 4월 화순전남대학교병원 병리과 임상전임강사
- 2010년 5월-2015년 10월 화순전남대학교병원 병리과 임상조교수
- 2010년 7월-2012년 6월 미국 시카고 노스웨스턴메모리얼병원 신경병리 임상전임의
- 2015년 11월-2016년 8월 화순전남대학교병원 병리과 임상부교수
- 2016년 9월-현재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기금부교수
연구소개
이경화 교수 실험실은 인체병변에 대한 직접적인 탐구와 해석을 하는 병리학적 방법을 기반으로 하여 암생물학에 대해 문경섭 교수와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그중 악성신경교종, 뇌전이암종, 소화기암종 및 신경퇴행질환에 중점을 두고 아래와 같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1. 악성신경교종의 치료저항인자 발굴
- 상피간엽전환의 개념은 상피기원의 암종에서는 오랫동안 알려져온 개념이지만, 악성신경교종에서 상피간엽전환의 속성이 악성도 심화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은 비교적 최근에서야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악성신경교종의 유전학적 생물학적 다양성을 구성하고, 침윤성 증대 및 항암방사선치료에 대한 치료저항성을 담당하는 중요한 요소로써 상피간엽전환 인자들의 역할을 연구하고 있다.
- KITENIN (KAI1 C-terminal-interacting tetraspanin)이 악성신경교종에서 상피간엽전환 및 암줄기세포 인자 발현 증가와 연관되어 신경교종의 악성도와 중요한 관련이 있다는 내용을 연구결과를 발표하였으며, 현재는 KITENIN이 종양미세환경의 면역인자 조절을 통해 종양의 악성도 진행에 기여하는 역할을 규명하고 있다.
2. 뇌전이암종의 분자유전학적 특성 및 종양미세환경의 역할 연구
- 폐암, 유방암, 소화기계암종 등 다양한 원발암종에서 일어나는 뇌전이는 임상적으로 환자에게 중대한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하며 암관련 사망율의 주요 축을 이루고 있다. 항암방사선 치료 및 수술 등의 다양한 치료노력에도 불구하고 치료저항성을 보이며 낮은 생존율을 보인다.
- 원발암종에서 암의 진행과정에 분자유전학적 다양성이 증대되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또한 뇌전이와 관련하여 특정 분자유전학적 선택현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동일환자 기원의 원발-전이암 짝지은 검체연구를 통하여, 뇌전이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적변이를 분석하고, 면역환경변화를 추적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암관련섬유모세포(cancer-associated fibroblast)는 암의 생물학적 진행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뇌전이암종의 경우는 뇌조직의 특수성으로 인해 비교적 연구가 제한되어 있었다. 환자유래시료와 동물모델을 활용하여 암관련섬유모세포의 유전학적 핵심인자를 규명하고, 생물학적 역할을 탐색하며, 치료저항성 조절을 통한 새로운 치료 타겟을 발굴하는 연구를 진행중이다.
3. 소화기암종의 분자유전학적 특성 및 종양미세환경의 역할 연구
- 최근의 항암치료는 암종의 분자유전학적 특성에 대한 해석을 기반으로 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소화기계암종 역시 분자유전학적 해석이 항암치료 설계 및 암종의 분류 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인 기반의 암종특이적인 분자유전학적 면역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고 있다.
- 대장암의 경우 항암방사선치료에 대한 치료저항성이 임상적 중요 현안으로, 대장항문외과 이수영교수와 공동연구를 통하여 치료감수성 환자군과 치료저항군을 비교하여, 분자유전학적 특성, 면역 환경의 차이, 암관련섬유모세포의 특성분석을 통하여 치료저항인자를 발굴하고 있다.
4. 신경퇴행질환의 병리학적 특성 및 미세환경인자 분석
- 국내에서는 극히 최근에서야 뇌은행을 기반으로 신경퇴행질환의 뇌조직을 수집하고 검체기반의 분석 및 연구를 수행하기 시작하였다. 신경과 김병채, 최성민 교수와 협업을 통하여 뇌은행 기반 신경퇴행질환의 시료를 수집 분석하고, 질환별 해부학적 부위에 따른 분자유전학적 특성 및 미세환경인자 분석을 시행하고 있다. 신경퇴행질환군 대비 정상검체 수집및 분석은 법의학 김형석교수와 협업을 통해 진행하고 있다.
KITENIN 과발현 세포주를 이용한 뇌종양모델 실험에서 KITENIN 과발현관련 테모졸로마이드 항암저항성 증가와 암줄기세포 인자인 ALDH1, CD44의 증가
알츠하이머병, 편도체우세 루이소체병, 변연우세 연령관련 TDP-43 뇌병증을 가진 뇌부검 증례의 육안소견사진과 현미경소견
수상경력
- 2014년 10월 대한병리학회 가을학술대회 최우수포스터상
- 2015년 7월 화순바이오메디컬 워크샵 젊은연구자상
연구업적 및 저서
- Kim KW, Jeong JU, Lee KH, Uong TNT, Rhee JH, Ahn SJ, Kim SK, Cho D, Quang Nguyen HP, Pham CT, Yoon MS. Combined NK Cell 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Exhibit Long-Term Therapeutic and Antimetastatic Effects in a Human Triple Negative Breast Cancer Model.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20 Sep 1;108(1):115-125. doi: 10.1016/j.ijrobp.2019.09.041. Epub 2019 Oct 10. PMID: 31605787
- Kim NI, Noh MG, Kim JH, Won EJ, Lee YJ, Hur Y, Moon KS, Lee KH, Lee JH. Frequency and Prognostic Value of IDH Mutations in Korean Patients With Cholangiocarcinoma. Front Oncol. 2020 Aug 18;10:1514. doi: 10.3389/fonc.2020.01514. eCollection 2020. PMID: 33014795
- Cho SH, Choi SM, Kim BC, Song WY, Kim HS, Lee KH. An Autopsy-Proven Case of Limbic-Predominant Age-Related TDP-43 Encephalopathy. Yonsei Med J. 2020 Aug;61(8):731-735. doi: 10.3349/ymj.2020.61.8.731.
- Kim JH, Jang WY, Jung TY, Jung S, Kim KK, Kim HS, Kim EH, Lee MC, Moon KS, Lee KH. Recurrent Glioma With Lineage Conversion From Oligodendroglioma to Astrocytoma in Two Cases. Front Oncol. 2019 Aug 27;9:828. doi: 10.3389/fonc.2019.00828. eCollection 2019. PubMed PMID: 31508376; PubMed Central PMCID: PMC6719522.
- Oh SJ, Ahn EJ, Kim O, Kim D, Jung TY, Jung S, Lee JH, Kim KK, Kim H, Kim EH, Lee KH, Moon KS. The Role Played by SLUG, an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Factor, in Invasion and Therapeutic Resistance of Malignant Glioma. Cell Mol Neurobiol. 2019 Aug;39(6):769-782. doi: 10.1007/s10571-019-00677-5. Epub 2019 Apr 22. PubMed PMID: 31011939.
- Kim YJ, Kim JH, Kim O, Ahn EJ, Oh SJ, Akanda MR, Oh IJ, Jung S, Kim KK, Lee JH, Kim HS, Kim H, Lee KH, Moon KS. Caveolin-1 enhances brain metastasis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potentially in association with the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marker SNAIL. Cancer Cell Int. 2019 Jun 28;19:171. doi: 10.1186/s12935-019-0892-0. eCollection 2019. PubMed PMID: 31297035; PubMed Central PMCID: PMC6599320.
- Kim D, Kim HS, Choi SM, Kim BC, Lee MC, Lee KH, Lee JH. Primary Age-Related Tauopathy: An Elderly Brain Pathology Frequently Encountered during Autopsy. J Pathol Transl Med. 2019 May;53(3):159-163. doi: 10.4132/jptm.2019.03.14. Epub 2019 Mar 19. Review. PubMed PMID: 30887795; PubMed Central PMCID: PMC6527938.
- Lee KH, Seo SW, Lim TS, Kim EJ, Kim BC, Kim Y, Lee HW, Jeon JP, Shim SM, Na DL, Huh GY, Lee MC, Suh YL. Proposal Guidelines for Standardized Operating Procedures of Brain Autopsy: Brain Bank in South Korea. Yonsei Med J. 2017 Sep;58(5):1055-1060. doi: 10.3349/ymj.2017.58.5.1055.
- Noh MG, Oh SJ, Ahn EJ, Kim YJ, Jung TY, Jung S, Kim KK, Lee JH, Lee KH, Moon KS. Prognostic significance of E-cadherin and N-cadherin expression in Gliomas. BMC Cancer. 2017 Aug 29;17(1):583. doi: 10.1186/s12885-017-3591-z.
- Kim NI, Yang JI, Kim SS, Lee JS, Lim SC, Jung S, Lee JH, Moon KS, Lee KH. Sinonasal renal cell-like adenocarcinoma, a unique variant of primary clear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The first reported case in Korea. Medicine (Baltimore). 2017 Aug;96(31):e7711. doi: 10.1097/MD.0000000000007711.
- Oh SJ, Yang JI, Kim O, Ahn EJ, Kang WD, Lee JH, Moon KS, Lee KH, Cho D. Human U87 glioblastoma cells with stemness features display enhanced sensitivity to natural killer cell cytotoxicity through altered expression of NKG2D ligand. Cancer Cell Int. 2017 Feb 10;17:22. doi: 10.1186/s12935-017-0397-7. eCollection 2017. PubMed PMID: 28203118; PubMed Central PMCID: PMC5303255..
- Kim YJ, Kim HK, Yang DH, Jung S, Noh MG, Lee JH, Lee KH, Moon KS. Pineal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Concomitant With Pituitary Prolactinoma: Possible Correlation Between 2 Distinguished Pathologies: A Case Report. Medicine (Baltimore). 2016 Feb;95(8):e2923. doi: 10.1097/MD.0000000000002923.
- Na JI, Kim JH, Kim HJ, Kim HK, Moon KS, Lee JS, Lee JH, Lee KH, Park JT. VE1 immunohistochemical detection of the BRAF V600E mutation in thyroid carcinoma: a review of its usefulness and limitations. Virchows Arch. 2015 Aug;467(2):155-68. doi: 10.1007/s00428-015-1773-0. Epub 2015 Apr 19.
학회활동
- 2007년 3월-현재 대한병리학회
- 2007년 3월-현재 대한병리학회 신경병리연구회
- 2011년 7월-현재 미국신경병리학회
- 2012년 7월-현재 대한암학회
- 2012년 7월-현재 대한신경종양학회